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PiMaster3).
언어학 |
---|
기초 분야 |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음성학 기호학 개별언어학 언어 습득 언어의 기원 |
언어의 변화와 변이 |
역사언어학 비교언어학 언어지리학 언어계통론 언어연대학 언어유형학 사회언어학 방언학 |
이론 |
생성언어학 인지언어학 이론언어학 |
응용 분야 |
응용언어학 언어인류학 심리언어학 신경언어학 생물언어학 전산언어학 말뭉치언어학 |
관련 항목 |
언어 언어학자 |
v • d • e • h |
언어(言語)에 대한 정의는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다. 아래는 그러한 예의 일부이다.
언어학은 이러한 언어가 발현되는 부분, 즉 음성, 의미, 문법, 형태 등을 연구하는 경우도 있고, 언어 자체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며 연구하는 학문, 즉 비교언어학, 언어유형학(유형론) 등까지를 포괄한다.
언어는 자연어와 인공어로 나눌 수 있는데, 자연어는 인류의 각 민족이 오래전부터 생활 속에서 사용해 왔던 언어이고, 컴퓨터나 수학 등 다른 학문의 분야에서 상호 효과적인 의사교환을 위해 고안된 것을 인공어라고 한다.
자연어 중에 세계적으로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사용하는 인구가 많은 순으로 나열하였으며 괄호 안은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을 나타낸다.
자연어는 어족 별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와의 친족 관계가 알려진 것이 없는 것은 고립된 언어라고 한다. 한국어는 현재 고립된 언어로 분류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일본어와 알타이어와 유사하다는 견해도 있다.
종교적 측면에서 보면 라틴어는 사어가 아닌 47억 기독교신도들의 종교언어이고,
지자체적 측면에서 보면 만주어는 사어가 아닌 둥베이, 프리몰, 하바롭의 공용어이다.
차가타이어란 차가타이(남서튀르크)어파의 공통조어로, 옛 대원제국의 차가타이汗국의 공용어였다. 지금은 사어로 판명.
손의 모양으로 의사 소통하는 수화도 언어의 일종이며 음성언어와 대비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인공어는 자연적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언어가 아닌, 사람이 의도적으로 만들어 의사소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인공어를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나, 대부분의 경우 기본적으로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언어이다.
유인원과 인간을 구분해주는 특성은 인간이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이다.[1]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관련된 항목이 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언어",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Entertai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