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ed g2s • talk).
화소(畵素) 또는 픽셀(pixel; picture element에서 유래)은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다.[1]
표준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크게 다음과 같다.
이름 | 해상도 (메가픽셀) |
가로 x 세로 |
---|---|---|
CGA | 0.064 | 320×200 |
EGA | 0.224 | 640×350 |
VGA | 0.3 | 640×480 |
SVGA | 0.5 | 800×600 |
XGA | 0.8 | 1024×768 |
SXGA | 1.3 | 1280×1024 |
UXGA | 1.9 | 1600×1200 |
메가픽셀 (줄여서 MP, Mpx)은 100만 화소를 가리키며 영상의 화소 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 요소의 수나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요소의 수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이를테면 2048x1536 센서 요소는 3.1 메가픽셀 (2048 x 1536 = 3,145,728)를 가진다는 말과 같다.
많은 디스플레이와 영상 획득 시스템들은 여러 이유로, 다른 색의 채널들을 하나의 소재에서 보여 주거나 인지할 수 없다. 따라서 화소 그리드는 표시되는 단일의 색 영역이나, 일정한 거리에서 보이는 느낄 수 있는 색으로 나뉘게 된다.
컴퓨터 화면에서는 화소 단위보다 세세하게 표현할 수 없다. 벡터가 아닌 비트맵 방식의 사진이나 그림을 확대하면 거칠게 각져서 두드러진 화소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줄이기 위해, 화소의 모서리를 주변의 색과 비슷하게 바꾸어 색을 매끄럽게 바꾸는 것을 앤티에일리어싱(anti-aliasing)이라고 한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화소",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Computer, Hardware, 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