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링(O-ring)은 패킹으로도 불리며 원환체 모양으로 생긴 합성고무 혹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부품이다.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같은 기계 부품 사이에서 기체가 새지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주왕복선 고체 로켓 부스터(SRB)에서 각각의 파트가 연결되는 부분의 연료누출을 막는 역할을 한다. 재료의 특성 때문에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했다.
1937년 Niels Christensen에 의해 미국 특허청에 등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정부는 방위산업관련으로 그의 특허를 선택했고 그에게 75,000 달러를 일시불로 지불했다.
우주왕복선 고체 로켓 부스터(SRB)에서 O링의 역할은 나뉜 SRB의 이음새를 메우면서 연료가 세어나가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길이가 50m에 육박하는 SRB를 통째로 운반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몇 부분으로 나눠서 운반을 하게 되는데 그 부분들을 이을 때 O링을 사용한다. 1986년 1월 28일, 챌린저 우주왕복선은 SRB에서의 연료유출로 폭발하여 모든 승무원이 사망했다. 낮은 온도로 인해 O링의 유연성이 떨어져, SRB부품 사이를 잘 매워주지못했고, 그 사이로 SRB의 연료가 누출되었기 때문이다.
우주왕복선이 발사될때 일반적으로 O링이 SRB의 이음매를 막는 절차는 다음과 같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1986년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 | ||
---|---|---|
주요 문서 | ||
승무원 | ||
같이 보기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O링",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AutoCAD, SolidWorks, Autodesk Inventor, FreeCAD, Catia, Siemens NX, PTC Creo, Siemens Solid Edge, Microstation, TurboCAD, Draftsight, IronCAD, Spaceclaim, VariCAD, OnShape, IntelliCAD,T-FLEX, VariCAD, TenadoCAD, ProgeCAD, Cadra, ME10, Medusa, Designspark, KeyCreator, Caddy, GstarCAD, Varimetrix, ASCON Kompas-3D, Free Download, Autocad, 2D Library, DXF, DWG, 2D drawing, 3D digital library, STEP, IGES, 3D CAD Models, 3D files, CAD library, 3D CAD files, BeckerCAD, MegaCAD, Topsolid Missler, Vero VisiCAD, Acis SAT, Cimatron, Cadceus, Solidthinking, Unigraphics, Cadkey, ZWCAD, Alibre, Cocreate, MasterCAM, QCAD.org, QCAD, NanoC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