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kown).
눈사람은 눈으로 만든 사람 형상의 조각이다. 보통 놀이삼아 만든다.
최초의 눈사람의 기록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눈사람의 역사》(The History of the Snowman)라는 책의 저자 Bob Eckstein은 유럽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의 예술적 묘사를 연구하면서 중세 시대의 눈사람을 기록하였다. 그가 찾은 최초의 문서는 헤이그 네덜란드 왕립도서관에서 발견된 1380년의 《기도서》(Book of Hours)라는 작품의 주변부 묘사였다.[1] 눈사람의 최초의 사진은 1853년 웨일스의 사진가 Mary Dillwyn이 찍었으며, 웨일스 국립 도서관 컬렉션의 일부로 전시되어 있다.[2]
서구(및 북반구)에서 눈사람은 크리스마스의 상징 중 하나이자 겨울의 상징 중 하나이다. 크리스마스 카드에 많이 등장한다.
서구에서는, 눈사람을 만드는 행위의 역사는 중세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유럽에서는 눈이 오면 사람들이 길거리에 눈사람을 만들었다. 이는 여러 오래된 일기나 연대기에 의해 고증되고 있다.
눈사람을 만드는 데에 필요한 재료는 기본적으로 눈이며, 이외에도 나뭇가지 혹은 나뭇잎이나 기타 상점에서 구입한 각종 액세서리등이 사용될 수 있다.
눈사람은 기본적으로 두 개 이상의 일정 크기 이상의 눈덩이를 만드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반적으로는 두 눈덩이로 만들어진 눈사람이 가장 많으며, 이 중에서도 아래쪽 눈덩이가 큰 눈사람이 다수를 차지한다. 두 눈덩이로 만들어진 눈사람에서 위 눈덩이는 머리, 아래 눈덩이는 몸을 형성하게 되는데, 작가가 의도하는 경우 두 눈덩이의 크기가 같은 눈사람이나 위쪽 눈덩이가 더 큰 가분수 눈사람도 만들 수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작가의 뛰어난 균형감각이 요구된다.
액세서리로 추가적인 장식을 할 경우에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뭇가지나 나뭇잎을 이용하면 된다. 나뭇가지로는 팔을 만들기 용이하며, 나뭇잎으로 눈(eye)을 만들 수 있다. 이 외에도 나뭇잎이나 나뭇가지를 머리에 꽂아 뿔을 만들거나 머리카락 장식을 할 수도 있다. 솔잎은 그 특성을 이용하여 눈썹을 만들기도 가능하다. 기타 액세서리로는 눈사람의 목에 둘러주는 목도리가 있을 수 있고, 머리에 씌워주는 모자, 코에 꽂는 당근 등이 있을 수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U+2603로 입력이 가능하다. (☃)
눈이 없는 눈사람의 경우 U+26C4이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이 문서와 관련된 글이 있습니다. |
|
이 글은 놀이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눈사람",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rary,download,drawing,step,cad blocks,basics,university,highschool,college,grammer school,statistics,3dpri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