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2.0 (Alan Wilson).
보잉 787 드림라이너 | |
---|---|
유나이티드 항공 소속 보잉 787-8 드림라이너 | |
종류 | 광동체 쌍발 제트 여객기 |
첫 비행 | 2009년 12월 15일 |
현황 | 생산 중 |
주요 사용자 |
|
생산 대수 | 2016년 5월 기준 417대 |
단가 |
787-8: 2억2천4백6십만달러(2016년) 787-9: 2억6천4백60만달러(2016년) 787-10: 3억0천6백10만(2016년) |
보잉 787 드림라이너(영어: Boeing 787 Dreamliner)는 보잉 사의 중형 쌍발 광동체 여객기다. 보잉 757 및 보잉 767을 대체하는 모델이다.
보잉의 항공기 중 처음으로 기체 대부분에 탄소복합 재료를 사용한 비행기이다. 개발 코드는 본래 7E7(효율성 Efficient, 경제성 Economic 친환경 Environment)이었으나, 2005년 1월 28일 787로 변경하였다. 역사상 가장 짧은 기간 동안 가장 많이 판매된 광동체 항공기이기도 하다.[1]
2012년 리튬 이온 전지로 인한 기체 결함으로 사고가 잇따르자, FAA에서는 보잉 787에 대해 운항 중지 명령[2]을 내렸으나 현재는 해제된 상태다.
대한민국 국적사들 중에서는 대한항공만 787-9를 주문했으며, 대한항공은 2017년 2월 24일에 첫번째 787-9 1대를 인도받았다. 엔진은 GEnx를 채택했다.
1990년대 후반 보잉은 에어버스 A330-200의 판매로 인해 보잉 767의 판매가 감소하자, 보잉 767의 대체 기종의 생산을 고려하였다. 또한 보잉 747-400의 판매도 감소하자 보잉은 개발이 완료된다는 조건 아래 에어버스 A380에 대응해 보잉 747-400을 늘이고 복합재료 초임계익을 사용해 효율을 높인 보잉 747X (보잉 747-8I)와 마하 0.98에 가까운 속도를 내면서 연료소모는 보잉 767과 비슷한 보잉 소닉 크루저(영어: Sonic Cruiser), 두 개의 신형 항공기를 콘티넨탈 항공을 비롯한 미국의 주요 항공사들에 제안하였다.
제안 당시 항공사들은 비록 운항 비용에 대해 걱정하면서 비행 시간 단축이 고객 만족과 비행기 운영의 효울성을 증대시킬 수 있기에 소닉 크루저에 관심을 보였으나 2001년 9·11 테러로 인한 항공 수요 감소와 유가 상승으로 인해 항공사들은 속도보다는 연료효율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기존에 개발 중이였던 소닉크루저를 2002년 12월 20일 자로 취소하고, 대체기종인 7E7을 제안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보잉 787이었다.
일찍이 공개된 구상은 급진적이고(radical design) 매우 유연(highly curved)하였다. 그러나 보잉은 프로그램이 시작된 지 1년 뒤인 2005년 4월 26일, 좀 더 고전적인 디자인으로 확정되었다.
원래 2007년 9월에 최초 비행을 거쳐 2008년 5월에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최초 비행은 2009년 12월 15일 시애틀 근교 보잉 공장과 인접한 페인필드 공항에서 시행하였으며 2011년 초, ANA에 인도되었다.
보잉의 여객기를 최대이륙중량으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보잉 787은 파생형에 따라 210명에서 290명까지 탑승할 수 있다.
787-3은 항속거리 4600~5600 km로 주로 수요가 많은 중거리 노선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현재의 787 시리즈와는 달리 윙렛이 장착된 디자인으로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보잉 757-200/-300과 보잉 767-200ER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다. 최초로 주문한 회사는 전일본공수이나 주문 부족과 787-8의 개발 지연으로 개발이 취소되었다.
최대 항속거리 15200 km. 에어버스 A330의 항속거리인 13,430km/10,830km보다 노선 길이가 길고, 보잉 777로서는 운영타산이 맞지 않는 장-초장거리 노선의 투입을 목적으로 개발된 보잉 787 시장의 주력 모델이다. 첫 비행은 2007년, 첫 인도시기는 2008년 이였으나 개발 과정 중 발견된 기체 결함으로 최초 비행과 인도시기가 계속 늦춰지다 2011년 전일본공수에 처음으로 인도되었다. 가격은 1억 8520만달러이다.[3]
최대 항속거리 15,700km다. 787-8의 동체 연장형으로, 초장거리 노선의 운영에 적합한 모델이다. 에어 뉴질랜드에서 2006년에 최초로 주문하였으며, 2014년에 인도받았다. 최초로 인도받은 회사는 전일본공수이며, 2014년 8월부터 운항에 들어갔다. 대한항공이 2011년에 787-8에서 이 모델로 주문 기종을 변경했고 2017년 2월 24일에 첫번째 787-9를 인도받았다. KLM도 787-9를 주문했다.
787-9의 동체 연장형으로 최대 항속거리 14,800 km으로 쌍발기 항속거리의 대부분을 커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기존의 보잉 777-200, 에어버스 A330-300, 에어버스 A340-200/-300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모델은 아직 개발중에 있으며 2018년부터 생산이 시작될 예정이다.
Model | 787-3 (개발 취소) | 787-8 | 787-9 | 787-10 |
---|---|---|---|---|
조종사 | 2 | |||
좌석 수 | 290-330 317 (2-class) |
210-250 242 (2-class) |
250-290 290 (2-class) |
323-360 330 (2-class) |
길이 | 186 피트 (56.7 미터) | 206 피트 (62.8 미터) | 224 피트 (68.3 미터) | |
날개폭 | 170 피트 6 인치 (52.0 미터) | 197 피트 3 인치 (60.1 미터) | ||
날개 면적 | 3,501 제곱피트 (325 제곱미터) | |||
후퇴각 | 32.2도 | |||
높이 | 55 피트 6 인치 (16.9 미터) | 55 피트 10 인치 (17 미터) | ||
동체 폭/높이 | 폭: 18 피트 11 인치 (5.77 미터) / 높이: 19 피트 7 인치 (5.97 미터) | |||
최대이륙중량 (MTOW) | 75,000 파운드 (170,000 kg) | 502,500 파운드 (228,000 kg) | 545,000 파운드 (247,000 kg) | 570,000 파운드 (258,000 kg) |
순항속도 | 마하 0.85 (567 mph, 490 knots, 913 km/h)[9] | |||
최대속도 | 마하 0.89 (593 mph, 515 knots, 954 km/h) | |||
최대탑재시 순항거리 | 2,500–3,050 해리 (4,630–5,650 km) | 7,650–8,200 해리 (14,200–15,200 km) | 8,000–8,500 해리(14,800–15,700 km) | 7,020–8,010 해리(13,000–14,800 km) |
최대연료탑재량 | 48,567 L | 126,920 L | 126,540 L | 154,720 L |
엔진 (×2) | General Electric GEnx 또는 Rolls-Royce Trent 1000 | |||
엔진 추력 (×2) | 53,000 lbf (240 kN) | 64,000 lbf (280 kN) | 71,000 lbf (320 kN) | 76,000 lbf (340 kN) |
항공사 | 787-8 | 787-9 | 787-10 | 도입 | 비고 |
---|---|---|---|---|---|
동아시아 | |||||
대한항공 | 1 | 10 | 0 | 보잉 787-8: 1대 도입완료 보잉 787-9: 4대 도입완료 |
787-8은 정부 전용기로 사용 예정 787-9는 기존의 에어버스 A300-600R 대체 |
일본항공 | 28 | 20 | 1 | 보잉 787-8: 25대 도입완료 보잉 787-9: 8대 도입완료 |
|
전일본공수 | 36 | 44 | 3 | 보잉 787-8: 36대 도입완료 보잉 787-9: 22대 도입완료 |
최초 운용 항공사 |
중국국제항공 | 0 | 15 | 0 | 보잉 787-9: 9대 도입완료 | |
중국남방항공 | 10 | 15 | 0 | 보잉 787-8: 10대 도입완료 | |
중국동방항공 | 0 | 15 | 0 | ||
샤먼 항공 | 6 | 6 | 0 | 보잉 787-8: 6대 도입완료 보잉 787-9: 3대 도입완료 |
|
하이난 항공 | 10 | 30 | 0 | 보잉 787-8: 10대 도입완료 보잉 787-9: 9대 도입완료 |
|
에바 항공 | 0 | 4 | 20 | ||
동남아시아 | |||||
로얄 브루나이 항공 | 5 | 0 | 0 | 보잉 787-8: 4대 도입완료 | |
베트남 항공 | 0 | 11 | 8 | 보잉 787-9: 11대 도입완료 | |
스쿠트 | 10 | 10 | 0 | 보잉 787-8: 6대 도입완료 보잉 787-9: 6대 도입완료 |
보잉 777-200ER 대체 항공기 |
싱가포르 항공 | 0 | 0 | 30 | 보잉 777-200/-200ER 대체 항공기 | |
타이 항공 | 6 | 2 | 0 | 보잉 787-8: 6대 도입완료 | |
남아시아 | |||||
비맘 방글라데시 항공 | 4 | 0 | 0 | ||
에어 인디아 | 27 | 0 | 0 | 보잉 787-8: 24대 도입완료 | 보잉 777-200LR 대체 항공기 |
제트 에어웨이즈 | 0 | 10 | 0 | ||
서남아시아 | |||||
걸프 에어 | 0 | 16 | 0 | ||
로얄 요르단 항공 | 8 | 0 | 0 | 보잉 787-8: 7대 도입완료 | |
사우디아 항공 | 0 | 11 | 0 | 보잉 787-9: 10대 도입완료 | |
아키라 이스라엘 항공 | 0 | 4 | 0 | ||
에티하드 항공 | 0 | 41 | 30 | 보잉 787-9: 12대 도입완료 | |
엘알 이스라엘 항공 | 7 | 9 | 0 | ||
오만 항공 | 10 | 16 | 0 | 보잉 787-8: 4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대 도입완료 |
|
이라크 항공 | 5 | 0 | 0 | ||
중앙아시아 | |||||
아제르바이잔 항공 | 6 | 0 | 0 | 보잉 787-8: 2대 도입완료 | |
에어 아스타나 | 3 | 0 | 0 | ||
우즈베키스탄 항공 | 6 | 0 | 0 | 보잉 787-8: 2대 도입완료 |
항공사 | 787-8 | 787-9 | 787-10 | 도입 | 비고 |
---|---|---|---|---|---|
서아프리카 | |||||
아리크 에어 | 0 | 9 | 0 | ||
동아프리카 | |||||
에어 오스트랄 | 2 | 0 | 0 | 보잉 787-8: 2대 도입완료 | |
에티오피아 항공 | 19 | 4 | 0 | 보잉 787-8: 16대 도입완료 | |
케냐 항공 | 9 | 0 | 0 | 보잉 787-8: 9대 도입완료 | |
북아프리카 | |||||
로얄 에어 모로코 | 5 | 0 | 0 | 보잉 787-8: 5대 도입완료 |
항공사 | 787-8 | 787-9 | 787-10 | 도입 | 비고 |
---|---|---|---|---|---|
서유럽 | |||||
영국항공 | 12 | 18 | 12 | 보잉 787-8: 8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6대 도입완료 |
|
버진 애틀랜틱 항공 | 0 | 17 | 0 | 보잉 787-9: 13대 도입완료 | |
톰슨 항공 | 9 | 4 | 0 | 보잉 787-8: 9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대 도입완료 |
|
에어 프랑스 | 0 | 14 | 0 | 보잉 787-9: 1대 도입완료 | |
KLM | 0 | 15 | 6 | 보잉 787-9: 8대 도입완료 | |
TUI 네덜란드 항공 | 3 | 0 | 0 | 보잉 787-8: 3대 도입완료 | |
제트에어플라이 | 1 | 0 | 0 | 보잉 787-8: 1대 도입완료 | |
남유럽 | |||||
에어 유로파 | 8 | 14 | 0 | 보잉 787-8: 5대 도입완료 | |
동유럽 | |||||
LOT 폴란드 항공 | 8 | 0 | 0 | 보잉 787-8: 6대 도입완료 | |
북유럽 | |||||
노르웨이 에어셔틀 | 8 | 30 | 0 | 보잉 787-8: 8대 도입완료 보잉 787-9: 2대 도입완료 |
|
아이슬란드 항공 | 1 | 0 | 0 |
항공사 | 787-8 | 787-9 | 787-10 | 도입 | 비고 |
---|---|---|---|---|---|
북아메리카 | |||||
아메리칸 항공 | 20 | 22 | 0 | 보잉 787-8: 17대 도입완료 보잉 787-9: 6대 도입완료 |
|
유나이티드 항공 | 12 | 23 | 14 | 보잉 787-8: 12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8대 도입완료 |
|
에어 캐나다 | 8 | 29 | 0 | 보잉 787-8: 8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5대 도입완료 |
|
아에로멕시코 | 2 | 6 | 0 | 보잉 787-8: 2대 도입완료 보잉 787-9: 3대 도입완료 |
|
남아메리카 | |||||
LATAM 칠레 항공 | 14 | 18 | 0 | 보잉 787-8: 10대 도입완료 보잉 787-9: 12대 도입완료 |
|
LATAM 페루 항공 | 3 | 0 | 0 | 보잉 787-8: 3대 도입완료 | |
아비앙카 항공 | 15 | 0 | 0 | 보잉 787-8: 10대 도입완료 |
항공사 | 787-8 | 787-9 | 787-10 | 도입 | 비고 |
---|---|---|---|---|---|
오세아니아 | |||||
콴타스 항공 | 0 | 8 | 0 | 기존 보잉 747-400 대체 항공기 | |
제트스타 항공 | 11 | 0 | 0 | 보잉 787-8: 11대 도입완료 | |
에어 뉴질랜드 | 0 | 12 | 0 | 보잉 787-9: 9대 도입완료 | 기존 보잉 767-300ER 대체 항공기 |
에어 뉴기니 | 1 | 0 | 0 | ||
에어 타히티 누이 | 0 | 2 | 0 |
보잉 787 드림라이너에는 각종 기술적인 결함이 많이 있으나, 엔진폭발 사고 및 화재까지 일으킨 일본항공의 경우 일본제 엔진에 생긴 문제나 하자가 발생되는 등 보잉 787 여객기의 안전성 문제가 크게 거론되기도 하여 운항계획을 유보 및 연기되는 일이 있다. 그래서 Nightmareliner(악몽라이너)라는 별명까지 붙여지기도 하였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0년 2월 12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보잉 787 드림라이너",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