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Matthias Zepper).
헬리콥터(Helicopter, 문화어: 직승비행기)는 로터라고 불리는 날개를 회전시켜서 양력을 얻어 비행하는 형식의 회전익 항공기를 가리킨다. 줄여서 헬기(문화어: 직승기)라고도 부른다. 헬리콥터는 일반 고정익 항공기(Fixed wing Aircraft)와는 달리 회전하는 로터(Rotor)에서 양력과 추력 대부분을 얻는다.
기원전, 중국에는 아이들의 놀이로 대나무 잠자리라는 장난감이 있었다. 15세기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간단한 스케치를 남겼으며,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후반에 여러 가지 모형이 고안, 실험되었다. 조종사가 탑승하여 실제로 이륙한 것은 20세기에 들어선 직후이다. 1907년 프랑스의 폴 코르뉴는 약 2m 높이에서 20.25초간 공중정지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비행이 가능한 헬리콥터가 최초로 이륙하는데 성공한 것은 1937년 하인리히 포케가 개발한 포케 울프 Fw 61기였다. 1939년 러시아에서 미합중국으로 망명한 이골 시콜스키는 단식 로터에 꼬리 회전익을 갖춘 오늘날의 반토크 테일로터 형식의 기초가 된 VS-300을 개발, 첫 비행하였다. 군용으로는 1940년대 후반 영국령이었던 말레이시아에서 對 게릴라 전에 사용되었고 이후 1950년대 초반 한국 전쟁에서도 사용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 베트남 전쟁에서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스케치 | Fw 61의 3면도 오스프리와 유사한 외관을 갖고 있다 |
헬리콥터는 형태에 따라 하나의 주회전익(Main Rotor)과 하나의 꼬리회전익(Tail Rotor)을 갖는 단식 주회전익 헬리콥터(Conventional Helicopter)와 두개의 앞뒤 주회전익을 가지는 탠덤(Tandem) 헬리콥터, 좌우 주 회전익 두 개를 가지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헬리콥터, 두 개의 회전익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반전(intermeshing rotors) 헬리콥터, 주 회전익 두 개가 동축을 이용하여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동축반전(Coaxial)형 헬리콥터가 있으며, 추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보조장치를 부착한 복합형 헬리콥터[Compound Helicopter]와 양쪽 날개에 배치된 회전익을 비행 중에 기울일 수 있는 틸트 로터(Tilt rotor)가 있다.
동축반전형 카모프 Ka-27
헬리콥터는 작은 면적에서 이착륙이 가능하고 복잡한 지형을 따라 느린 속도로 비행이 가능하며 한 곳에 머무를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경찰 업무, 인명 구조, 화재 진압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헬리콥터는 특유의 비행 원리로 말미암아 일반 항공기와 다른 비행 특성을 가진다. 특히 수직 이륙, 수직 착륙, 공중 정지(호버링)나 전후좌우로 기동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지상전과 조합한 형태의 전술에서 핵심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회전익으로 모든 추력과 양력을 얻는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대공화기에 취약해서 최근 중무장한 공격용 헬리콥터는 생존성을 제고하고자 중장갑과 함께 항공 전자 장비를 장착하여 취약점을 보완한다.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헬리콥터",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