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DoerNoc).
제조사 | 삼성전자 |
---|---|
슬로건 | Do bigger things / 모든 순간을 가장 나답게 |
시리즈 | 삼성 갤럭시 노트 |
호환 네트워크 | LTE-5CA Cat.16·13, TD-LTE, HSPA+ 42Mbps, HSDPA & HSUPA & UMTS, TD-SCDMA, GSM & EDGE |
이전 | 삼성 갤럭시 노트 7 |
후속 | 삼성 갤럭시 노트 9 |
형태 | bar edge 형태 |
크기 | 세로 162.5mm, 가로 74.8mm, 두께 8.6mm |
무게 | 195g |
운영 체제 |
안드로이드 8.0.0 오레오 |
UI | Samsung Experience 9.0 |
CPU | 엑시노스 9시리즈 8895 옥타코어 삼성 2nd 커스텀 아키텍처 MP4 2.3 GHz + ARM Cortex-A53 MP4 1.7 GHz (big.LITTLE) |
GPU | 엑시노스 ARM Mali-G71 MP20 546 MHz |
메모리 | 6GB LPDDR4X SDRAM |
센서 | 지문인식, 홍채인식,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NFC, 조도센서, 근접센서 |
자료 입력 | 정전식 터치 |
디스플레이 |
6.3인치 2960 x 1440 다이아몬드 형태 RG-BG 펜타일 서브픽셀 방식의 삼성D Infinity Display (Super AMOLED 방식 & 521 ppi) 멀티터치 및 압력 센서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고릴라 글래스 5, HDR 10 지원, 와콤 입력 모듈 |
외부 디스플레이 | 없음 |
후면 카메라 | 12MP광각(메인) 조리개 값 F1.7, Dual Pixel(1.4µm), 센서크기 1/2.55, OIS +12MP망원 조리개 값 F2.4 2x Optic, OIS |
전면 카메라 | 8MP AF F1.7 |
사운드 | 일반 스피커, 24bit 이상 음원 지원,번들 AKG 튜닝 이어폰 탑재 |
연결 | USB 3.1 Gen1 Type-C x 1, 3.5 mm 단자 x 1 |
무게 | 195g |
삼성 갤럭시 노트 8(Samsung Galaxy Note 8) 은 2017년 8월 23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17에서 공개되어 삼성전자에서 제조, 판매중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으로, 삼성 갤럭시 노트 FE (삼성 갤럭시 노트 7)[1]의 후속 제품이다. 삼성전자 최초로 듀얼카메라를 탑재하였다. 인피니트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꽉찬 화면을 볼 수 있다. 인공지능 서비스인 '빅스비'를 탑재하였다. 2017년 9월 15일에 KT를 비롯한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를 통해서 발매하였다. 경쟁작으로는 lg v30,아이폰8 등이 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전작인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부터 내려오는 패밀리룩을 따르고 있으며 동시에 갤럭시 S8 & 갤럭시 S8+와 디자인적 요소가 동일하다. 특히, 갤럭시 노트 시리즈를 넘어 갤럭시 시리즈의 기본 디자인 요소였던 물리 홈 버튼 구조가 갤럭시 S8 & 갤럭시 S8+와 동일하게 삭제되고 소프트 키로 대체되었다. 기본 색상은 미드나잇 블랙, 오키드 그레이, 딥씨 블루, 메이플 골드로 총 4종이다.
사양은 우선 AP로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8895)와 퀄컴 스냅드래곤 835 MSM8998을 지역에 따라 취사선택해 사용한다. 전자는 삼성전자의 2세대 자체 CPU 아키텍처를 사용한 쿼드코어 CPU와 ARM Cortex-A53 쿼드코어 CPU에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와 ARM Mali-G71 에이코사코어 GPU를 사용한다. 후자는 Qualcomm Kryo 280 옥타코어 CPU를 쿼드코어 CPU로 구성된 두 개의 클러스터로 나누어 한쪽에는 고클럭 세팅으로 빅 클러스터 형태로 만들고 다른 한쪽에는 저클럭 세팅으로 리틀 클러스터 형태를 만들어 big.LITTLE 솔루션을 모방한다. 그리고 퀄컴 Adreno 540 GPU를 사용한다. 갤럭시 S8 & 갤럭시 S8+가 사용한 모바일 AP와 동일하다.
지원 LTE 레벨은 Cat.16·13으로 다운로드는 Cat.16를 적용해 최대 1 Gbps를 보장하고 업로드는 Cat.13을 적용해 최대 1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은 출시 국가 혹은 지역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지원하는데, 삼성 엑시노스 9 Series (8895) 탑재 모델은 5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고 퀄컴 스냅드래곤 835 MSM8998 탑재 모델은 4 Band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한다. VoLTE도 지원한다.
RAM은 LPDDR4X SDRAM 방식이며 6 GB다. 내장 메모리는 UFS 2.1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64 GB, 128 GB 그리고 256 GB로 나뉘어진다. 여담으로, 내장 메모리 용량 옵션으로 256 GB가 삼성전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로서는 최초로 들어갔다. 또한, micro SD 카드로 용량 확장이 가능하다. 듀얼심 모델의 경우 하이브리드 듀얼심 방식이기 때문에 두 번째 SIM 카드와 micro SD 카드를 동시에 장착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는 6.3인치 18.5:9 비율의 2960 x 144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엣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도입된 Super AMOLED 방식의 Infinity Display이다. 16:9 비율인 WQHD 해상도에 비해 세로 부분이 확장된 해상도로, 삼성전자는 이를 Quad HD+라고 명명해서 홍보하고 있다. 또한, 소프트 키 구조를 가져서 물리 홈 버튼이 삭제되었지만, 압력 센서를 이용해 포스 터치처럼 소프트 키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물리 홈 버튼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재현했다. 특히, 디스플레이가 기기 전면부의 약 84.7%를 차지하고 있다. 우선, 2220 x 1080 해상도를 기본 해상도로 사용하며 설정에서 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조절이 가능하다. 특히, 반듯한 직사각형이었던 기존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디스플레이와는 달리 코너 부분이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3,300 mAh이다. 또한, 전작인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와 마찬가지로 삼성전자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과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솔루션과 자기유도 방식의 표준 규격인 Qi 규격과 자기유도 방식이지만 자기공진 방식의 A4WP와 호환성을 강화한 PMA 규격의 무선충전 솔루션 및 고속 무선충전 솔루션을 지원한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1,200만 화소 카메라를 77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기본 카메라로 탑재하고 별도의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1,200만 화소 카메라를 45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망원 카메라로 탑재로 탑재하여 이 둘로 듀얼 렌즈를 구성했다. 2016년 이후로 듀얼 렌즈를 구성한 카메라를 탑재한 스마트폰들이 많이 나왔지만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은 하나의 카메라 렌즈에만 적용되었는데, 세계 최초로 구성된 두 개의 카메라 렌즈에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을 전부 탑재했다. 그리고 AF 트래킹을 지원하고 기본 카메라는 "Dual Pixel" 기술을 활용한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하며 망원 카메라도 AF를 지원한다. 여기에 광학 줌 최대 2배, 디지털 줌 최대 10배까지 지원하며 기본 카메라와 망원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하는 듀얼 캡쳐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기본 카메라가 1/2.55인치이고 망원 카메라가 1/3.6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기본 카메라가 F/1.7이고 망원 카메라가 F/2.4이다. 여담으로,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중 최초로 듀얼 렌즈를 구성한 카메라를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800만 화소 카메라를 80도의 화각으로 설정해 탑재했다. 여기에 AF를 지원한다. 또한, 센서 크기는 1/3.6인치이며 조리개 밝기는 F/1.7이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솔루션이 후면 카메라 모듈 좌측면에 탑재되어 있으며 전작인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에 이어서 홍채인식 솔루션이 전면 상단부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8로, 이는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IPX9K 등급보다 1단계 낮다. 또한, 심장 박동 인식 센서가 후면 카메라가 듀얼 렌즈를 구성한 카메라로 탑재되면서 갤럭시 S8 & 갤럭시 S8+와는 다르게 후면 카메라 모듈과 지문인식 솔루션 사이에 존재한다. 여기에 USB Type-C를 입출력 단자로 사용한다. 특히, 단자 규격의 목표에 맞게 USB 3.1 Gen1을 지원한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아이덴티티인 S펜의 경우 전작인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와 동일하게 4096 레벨의 필압과 와콤에서도 상위 기종에서 지원하는 펜의 기울기에 따라 선 굵기가 바뀌는 기술인 틸트 인식을 지원한다. 또한, 갤럭시 노트5 대비 펜촉이 1.6 mm에서 0.7 mm로 얇아졌다고 한다. 여기에 S펜에도 방수 방진 설계가 적용되어 수중에서도 S펜 관련 기능이 정상 작동한다. 단, 수중이나 기기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는 S펜으로만 터치가 가능하다. 손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는 터치가 안 된다. 여담으로,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의 S펜과 기기 규격이 동일하기 때문에 갤럭시 노트7 & 갤럭시 노트 FE의 S펜 또한 삽입구에 장착할 수 있다.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 | ||
---|---|---|
스마트폰 | ||
태블릿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삼성 갤럭시 노트 8",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max, Maya, Challenge, Competition, Rendering, 3D, Blender, Autodesk Maya, 3D Studio MAX (.3DS, .MAX), Maxwell, Animation, 3D Model, Autodesk Softimage, Cinema 4D, Rendering, Animation, 3Dartist, c4d, maxon, lowpoly, 3Dart, blender3D, 3D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