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기장 | |
---|---|
미션 통계 | |
이름: |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 (아폴로 18호) |
호출 부호: | 사령선: CSM-111 |
승무원: | 3 |
발사: | 1975년 7월 15일 19:50 UTC 케네디 우주 센터, 플로리다 LC 39B |
달 착륙: | - |
월면차: | - |
달 선외 활동: | - |
달착륙 시간: | - |
월석 질량: |
- |
착수: | 1975년 7월 24일 21:18 UTC 북위 21° 52′ 서경 162° 45′ / 북위 21.867° 서경 162.750° / 21.867; -162.750 |
달궤도 시간: | - |
임무 시간: | 9일 1시간 28분 |
원지점: | 231 km |
근지점: | 217 km |
궤도 주기: | 88.91 분 |
궤도 기울기: | 51.75° |
총 비행 거리: | ~5,990,000 km |
승무원 사진 | |
왼쪽으로부터 슬레이튼, 스태퍼드, 브랜드, 레오노프, 쿠바쇼프 | |
아폴로 승무원 | |
토머스 스태퍼드 (선장) 밴스 브랜드 (사령선 조종사) 도널드 슬레이튼 (도킹 모듈 조종사) | |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소유스) | |
미션 기장 | |
미션 통계 | |
이름: |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 (소유스 19호) |
호출 부호: | Союз(소유스) |
승무원: | 2 |
발사: | 1975년 7월 15일 12:20 UTC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 카자흐 SSR |
착륙: | 1975년 7월 21일 10:50 UTC |
임무 시간: | 5일 22시간 30분 |
원지점: | 231 km |
근지점: | 218 km |
궤도 주기: | 88.92 분 |
궤도 기울기: | 51.76° |
총 비행 거리: | ~3,900,000 km |
승무원 사진 | |
왼쪽으로부터 슬레이튼, 스태퍼드, 브랜드, 레오노프, 쿠바소프 | |
소유스 승무원 | |
알렉세이 레오노프 (선장) 발레리 쿠바쇼프 (플라이트 엔지니어) |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ASTP; 영어: Apollo-Soyuz Test Project, 러시아어: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полёт «Союз» — «Аполлон»)은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의 우주선이 공동 비행한 최초의 우주 계획이다. 1972년 5월에 조인되어 1975년 7월에 시행되었다. 미국에게는 아폴로 우주선을 사용한 마지막 비행이며, 이 비행 이후 1981년 4월에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가 발사될 때까지 유인 우주비행을 하지 않았다. 두 초강대국이 힘을 합해 하나의 프로젝트를 실행한 ASTP는 데탕트(해빙)의 상징이며, 미-소 간의 치열한 우주 경쟁의 종말을 고하는 것이었다.
이 계획은 1972년 5월에 조인되었다. 이 계획의 배경은 우주 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협력에 관한 미소간의 각서에 근거해 계획되었고, 주목적은 미래의 미-소 우주선의 도킹 시스템을 연구하는 것에 있었다.
1975년 7월 15일, 소련의 2인승 우주선 소유스 19호가 발사되었고, 그로부터 7시간 반 후에 3명의 비행사를 실은 미국의 아폴로 18호가 발사되었다. 두 우주선은 7월 17일에 지구를 도는 궤도상에서 도킹했다. 두 우주선의 도킹은 44시간에 걸쳐서 진행되었고, 그 사이 서로 간 우주선의 방문이나 기의 교환, 식사, 선언서에의 서명 등의 세레모니가 행해졌다. 미국 측 승무원인 토마스 스태퍼드는, 강한 오클라호마 방언으로 러시아어를 했기 때문에, 소련 측의 레오노프 선장은, "이 우주선에서는 세 개의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러시아어와 영어, 하나 더 오클라호마어다." 등과 같은 농담을 퍼부었다.
도킹을 해제한 다음에는 소유스 19호가 지구의 역할을, 아폴로 18호가 달의 역할을 맡아 아폴로의 선체로 태양을 숨기는 인공 일식의 실험이 행해졌고, 태양의 코로나가 촬영되었다. 공동 작업은 7월 19일에 모두 종료되어, 소유스 19호는 7월 21일, 아폴로 18호는 7월 24일에 지구로 귀환했다.
당시에는 미소간의 일시적인 긴장 완화(데탕트)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었고, 막대한 비용이 드는 우주 개발은 향후 국제적 공동 개발로 행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어서 미소 양국의 이해가 일치했다. 한편으로 아폴로 13호의 선장 짐 러벨이나 항공 평론가 사누키 마타오와 같이, "미소의 긴장완화에는 도움이 되었을지도 모르지만, 기술적으로는 거의 의미가 없다" 라고 평가한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때 미소 양국의 우주선을 도킹시키기 위해서 개발된 여러 가지 기술은 후에 우주왕복선이 미르에 도킹하는 임무에서 활용하게 되었다.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이 문단을 편집하여, 참고하신 문헌이나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각주 등으로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3년 7월 17일에 문단의 출처가 요청되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아폴로-소유스 시험 계획",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planet,jupiter,erath,mars,venus,moon,astr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