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江)은 물이 흐르는 길이다. 하늘에서 내린 비가 바다로 흘러가는 경로에 해당된다. 한국어 고유어로는 가람이라고도 한다.
강은 육지 위를 흐르면서 각지에 생명체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며, 육지를 침식, 흙, 암석 조각들을 이동시키고, 민물고기가 살 수 있는 터전을 만드는 등의 역할을 한다.
하천(河川)은 강과, 골짜기나 평지에서 흐르는 자그마한 내를 뜻하는 시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수질 기준을 따지는 지표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BOD는 1급의 경우 1mg/L 이하, 2급의 경우 3mg/L 이하, 3급의 경우 5mg/L 이하이어야 각각의 수질 기준을 만족한다. 그 외에 pH, SS, DO, 대장균 군수를 지표로 사용한다.[1]
계절의 변화에 따라 수질 변화가 가장 큰 수원이다.[2]
하천 길이는 구적기를 사용해 지형도에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Horton은 하천 평균길이가 하천차수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고 하천길이법칙(law of stream lengths)을 만들었다.
하천 길이를 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유역의 길이를 잴 수도 있고 유역 중심거리를 잴 수도 있다.[3]
u차 하천면적 Au는 u차 하천의 유출에 기여하는 유역면적이다. 1956년 Schumm은 각 차수의 평균 하천유역면적은 1차 하천의 평균 유역면적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는 하천 면적법칙(law of stream area)을 제시하였다.[4]
하천종단도에서 하천 임의 두 지점의 표고차와 수평거리의 비를 하천 경사라고 한다. 상류에선 경사가 급하고 하류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해진다. 하천경사를 계산하는 방법은 단순경사방법, 등면적경사방법, 부분경사방법, 등가경사방법이 있다.[5]
하천밀도는 단위면적 당 하천 길이를 나타내는 지표다. 유역 내 지류하천의 다소를 나타내는 값으로 사용되며, 토양이 침식성, 불투수성, 급경사, 식생 피복이 빈약한 지역일수록 높은 하천 밀도, 비침식성 토양, 투수성인 지역일수록 낮은 하천 밀도를 보인다.[6]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강",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model,rendering,library,tree,bush,flower,landscape,design,architecure,p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