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No machine-readable author provided. Dbenbenn assumed (based on copyright claims).).
귀걸이 또는 귀고리(문화어: 귀에고리)는 귓불에 다는 장식품이다. 보통 귀걸이는 귀를 뚫는 형식이지만 귀를 뚫지 않고 귓불에 끼우는 '귀찌' 종류도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귀에 하는 장식품이라는 뜻으로 '귀고리'보다 '귀걸이'가 더 널리 쓰이지만, '귀고리'를 엄밀한 표준어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전통적으로 '귀고리'가 장식품을 뜻하는 말이었고, 원래 '귀걸이'의 뜻은 방한용 귀마개였기 때문이다[1].
한때는 남북 모두 장식품을 뜻하는 표준어로 '귀고리'만을 인정하다가 1999년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이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귀걸이'와 '귀고리'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였다[2]'
[모호한 표현]까지도 TV나 라디오 등 미디어를 통하여, '귀고리가 표준어', '귀걸이는 틀린 우리말'로 보도된 바 있어 무리를 주고 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검색 시
귀걸이 귀-걸이 「명사」 「1」귀가 시리지 않도록 귀를 덮는 물건. 보통 털가죽 따위로 만든다. ≒귀마개「2」. 「2」=귀걸이안경. 「3」=귀고리.
이며
귀고리 귀-고리 「명사」 귓불에 다는 장식품. ≒귀걸이「3」 ㆍ이식03(耳飾)ㆍ이환02(耳環).
이다.
즉 귀고리는 악세사리만을 칭하며 귀고리를 포함하여 블루투스나 귀마개 등 귀에 걸 수 있는 것들을 통칭하는 단어는 귀걸이 이다.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귀걸이",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 jewellery,jewel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