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Champions League | |
지역 | 유럽 (UEFA) |
---|---|
설립 연도 | 1955년 (현재 대회로는 1992년) |
참가 팀 수 |
32 (본선) 77 또는 78 또는 79 (예선 포함) |
역대 대회 성적 | |
최근 우승 | 레알 마드리드 (2017) |
최다 우승 | 레알 마드리드 (12회)[1] |
[1] | |
UEFA 챔피언스리그 2017-18 | |
v • d • e • h |
UEFA 챔피언스리그(UEFA Champions League)는 유럽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유럽에서 가장 우수한 축구 클럽들을 대상으로 매년 열리는 클럽 축구 대회이다. 1955년에 시작되었다. 유러피언컵(European Cup)으로 불리다가 1992년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칭되었다. 보다 비중이 약한 대회인 UEFA 유로파리그와 이미 폐지된 UEFA 컵위너스컵과 비교된다.
해마다 7월쯤 시작되는 토너먼트 형식의 예선전을 통과한 10개 팀들과 조별 리그에 자동 진출한 22개 팀을 합친 총 32개 팀들이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별로 4개 팀씩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본선 경기를 치른다. 매년 12월에 모든 조별 리그전이 종료되면, 각 조의 1, 2위 팀은 그 다음 해 2월부터 5월까지 계속되는 16강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또 각 조의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의 32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가장 최근 우승 팀은 2017년 웨일스 카디프의 밀레니엄 스타디움에서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한 레알 마드리드이다.
이 대회는, 유럽 프로 축구 세계에서 최고의 권위를 가진 대회이다. 대회 결승전은 보통 유럽 프로 축구의 모든 시즌 일정 가운데 가장 마지막 경기로 치러진다. 또한 유럽 대륙의 축구 선수들이 이적을 고려할시에 챔피언스리그 32강 본선 경기 출전이 가능한 팀인가를 우선 순위로 고려할 정도이다.
줄여서 '챔스', 'UCL'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UEFA 챔피언스리그의 대표곡은 리그 데 챔피온 (Ligue des Champions)이다.
유럽의 각 국 리그의 우승 팀간의 경기로, 유럽 챔피언 클럽 대회에서 유러피언컵 대회로 간소화된 이 대회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유럽 축구 연맹에 의해 시작된 것이 아니라 프랑스 스포츠지 레키프의 편집자인 가브리엘 아노에 의해 시작된 대회이다.[2]
이 대회는 양 팀간 녹아웃 형식으로 1955-56 시즌부터 시작되었다. 각 팀들은 홈에서 한 경기를, 원정에서 한 경기를 치러 더 많은 승점(혹은 득점)을 얻은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자격을 획득하는 방식이었다. 참가 자격이 있는 팀은 각 국내 리그의 우승 팀과, 유러피언컵을 보유한 팀뿐이었다. 이러한 예선 방식은 1992년까지 계속되었다.
1992/93 시즌부터 이 대회는 UEFA 챔피언스리그로 개명되었고 1997/98 시즌부터 각국 리그 챔피언과 전년도 우승 팀만 참여하던 것에서 UEFA 점수에 따라서 성적이 좋은 리그 2위 팀들도 대회 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고 1999/2000 시즌부터는 현재처럼 상위 3개의 리그는 리그 4위 팀들까지 대회참여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다.[3]
1991/92 시즌부터 토너먼트에 앞서 조별리그제를 도입하였다. 현재의 시스템은 2009년부터 적용되고 있다. 1960년부터 2004년까지의 본선 우승 팀은 현재는 없어진 인터콘티넨탈컵(코파 리베르타도레스우승팀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의 출전권을 획득했다. 그 이후로는 FIFA가 대회를 인계받아, 우승 팀은 자동적으로 다른 대륙의 클럽 선수권대회 우승 팀들과 함께 FIFA 클럽 월드컵의 출전권을 획득한다.
2015-16시즌부터 2017-18시즌까지 UEFA 챔피언스리그의 참가팀 수는 아래와 같다.(예선 포함)
1차 예선전
2차 예선전
3차 예선전 (우승)
플레이오프전 (우승)
|
3차 예선전 (비우승)
플레이오프전 (비우승)
|
조별 리그 (32팀)
이전 시즌의 우승 팀도 자국 리그의 성적에 상관 없이 출전권이 부여된다. 그러나 시즌별로 한 협회당 5개 이상의 팀은 내보낼 수가 없기 때문에, 상위 1-3위의 협회 소속의 클럽이 챔피언스리그에서 우승하고 동시에 자국리그에서 5위이하의 성적을 기록했을시, 다음 시즌에 그 팀은 해당 협회 1부 리그의 4위 팀의 자리를 대신하여 출전하게 된다. 대신에 4위팀은 UEFA 유로파리그에 출전하게 된다.
챔피언스리그에 참가하려는 클럽은 스포츠 기준과 더불어, 자국의 협회로부터 허가를 받아야만 한다. 허가를 획득하려면 특정 경기장, 인프라, 재정 요건을 충족해야만 한다.
2015-16 시즌부터 UEFA 유로파리그 저번 시즌 우승팀이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한다.
이번 라운드에 진출한 팀 | 이전 라운드에서 진출한 팀 | ||
---|---|---|---|
1차 예선 (10팀) |
|
||
2차 예선 (34팀) |
|
| |
3차 예선 | 우승팀 (20팀) |
|
|
비 우승팀 (10팀) |
|
||
플레이오프 | 우승팀 (10팀) |
| |
비 우승팀 (10팀) |
|
| |
조별 리그 (32팀) |
|
| |
토너먼트 (16팀) |
|
조별 리그 직행팀의 수가 16팀에서 22팀으로 늘었다. 3차 예선전의 패자 15팀은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전에 진출하며 플레이오프전의 패자 10팀은 UEFA 유로파리그 조별 리그로 진출한다. 조별 리그에서 각조 3위를 한 팀은 종전대로 UEFA 유로파리그 32강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2012-13 시즌 기준으로 UEFA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들에게 210만 유로를 지급하였다. 조별 리그에 진출한 팀들에게는 860만 유로를 지급하였으며 조별 리그 경기 승리시 1백만 유로, 무승부 시 50만 유로를 지급하였다. 또 추가로 16강 진출팀에게 350만 유로, 8강 진출팀에게 390만 유로, 준결승 진출팀에게 490만 유로, 준우승팀에게 650만 유로, 우승팀에게 1050만 유로를 지급하였다.[4]
※ 유럽축구연맹은 UEFA 챔피언스리그 기록과 관련하여, 전신 대회의 역사를 승계하는 것을 통계 원칙으로 한다. 이에 따라 유러피언컵(1955~1992)의 우승 기록은 UEFA 챔피언스리그 통산 우승 기록에 포함되는 반면, UEFA 유로파리그 및 UEFA 컵위너스컵의 우승 기록은 별개로 간주한다.[5] ※ 유럽축구연맹은 UEFA 챔피언스리그에 출전하는 구단들이 전신 구단의 역사와 기록을 승계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여기서는 유럽축구연맹의 통계 원칙에 따라 현재의 구단을 기준으로, 유럽축구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구단약칭으로 기재한다.[6] ※ 유럽축구연맹은 UEFA 챔피언스리그 결승전이 개최될 경기장을 해당 대회의 결승전이 열리기 2년 전에 결정한다.
※ UEFA 챔피언스리그를 통산 5회 이상 우승한 경우 또는 연이어 3회 이상 우승한 경우, 해당 업적을 달성한 구단에게는 UEFA 챔피언스리그의 우승 트로피인 빅이어 (Big Ear)를 영구소장할 자격이 주어진다. 빅이어 영구소장의 자격을 갖추게 된 구단의 경우 해당 업적을 달성한 시즌에 트로피를 표시한다.
시즌 | 팀수 | 대회 명칭 | 1 우승 | 점수 | 2 준우승 | 결승전 경기장 | |
---|---|---|---|---|---|---|---|
1955 ~ 1992 | 유러피언컵 (European Cup) | ||||||
1955-56 | I | 16 | 유러피언컵 1955-56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4 - 3 | 프랑스 랭스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1956-57 | II | 22 | 유러피언컵 1956-57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2 - 0 | 이탈리아 피오렌티나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1957-58 | III | 24 | 유러피언컵 1957-58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3 - 2 (a.e.t.) | 이탈리아 밀란 | 브뤼셀, 헤이젤 경기장 |
1958-59 | IV | 26 | 유러피언컵 1958-59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2 - 0 | 프랑스 랭스 | 슈투트가르트, 네카어슈타디온 |
1959-60 | V | 26 | 유러피언컵 1959-60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7 - 3 | 서독 프랑크푸르트 | 글래스고, 햄든 파크 |
1960-61 | VI | 28 | 유러피언컵 1960-61 | 포르투갈 벤피카 | 3 - 2 | 스페인 바르셀로나 | 베른, 방크도르프 경기장 |
1961-62 | VII | 29 | 유러피언컵 1961-62 | 포르투갈 벤피카 | 5 - 3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암스테르담, 올림픽 경기장 |
1962-63 | VIII | 30 | 유러피언컵 1962-63 | 이탈리아 밀란 | 2 - 1 | 포르투갈 벤피카 | 런던, 웸블리 경기장 |
1963-64 | IX | 31 | 유러피언컵 1963-64 |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3 - 1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빈, 프라터 경기장 |
1964-65 | X | 31 | 유러피언컵 1964-65 |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1 - 0 | 포르투갈 벤피카 | 밀라노,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
1965-66 | XI | 31 | 유러피언컵 1965-66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2 - 1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 브뤼셀, 헤이젤 경기장 |
1966-67 | XII | 32 | 유러피언컵 1966-67 | 스코틀랜드 셀틱 | 2 - 1 |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리스본, 나시오날 경기장 |
1967-68 | XIII | 32 | 유러피언컵 1967-68 |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 - 1 (a.e.t.) | 포르투갈 벤피카 | 런던, 웸블리 경기장 |
1968-69 | XIV | 32 | 유러피언컵 1968-69 | 이탈리아 밀란 | 4 - 1 | 네덜란드 아약스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1969-70 | XV | 33 | 유러피언컵 1969-70 | 네덜란드 페예노르트 | 2 - 1 (a.e.t.) | 스코틀랜드 셀틱 | 밀라노,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
1970-71 | XVI | 33 | 유러피언컵 1970-71 | 네덜란드 아약스 | 2 - 0 | 그리스 파나티나이코스 | 런던, 웸블리 경기장 |
1971-72 | XVII | 33 | 유러피언컵 1971-72 | 네덜란드 아약스 | 2 - 0 |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로테르담, 데 큅 |
1972-73 | XVIII | 30 | 유러피언컵 1972-73 | 네덜란드 아약스 | 1 - 0 | 이탈리아 유벤투스 | 베오그라드, 츠르베나 즈베즈다 |
1973-74 | XIX | 31 | 유러피언컵 1973-74 | 서독 바이에른 | 1 - 1 (a.e.t.) (재경기 4 - 0) | 스페인 아틀레티코 | 브뤼셀, 헤이젤 경기장 |
1974-75 | XX | 30 | 유러피언컵 1974-75 | 서독 바이에른 | 2 - 0 | 잉글랜드 리즈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1975-76 | XXI | 32 | 유러피언컵 1975-76 | 서독 바이에른 | 1 - 0 | 스페인 생테티엔 | 글래스고, 햄든 파크 |
1976-77 | XXII | 32 | 유러피언컵 1976-77 | 잉글랜드 리버풀 | 3 - 1 | 서독 묀헨글라트바흐 | 로마, 올림피코 경기장 |
1977-78 | XXIII | 31 | 유러피언컵 1977-78 | 잉글랜드 리버풀 | 1 - 0 | 벨기에 브뤼허 | 런던, 웸블리 경기장 |
1978-79 | XXIV | 33 | 유러피언컵 1978-79 | 잉글랜드 노팅엄 | 1 - 0 | 스웨덴 말뫼 | 뮌헨, 올림피아스타디온 |
1979-80 | XXV | 33 | 유러피언컵 1979-80 | 잉글랜드 노팅엄 | 1 - 0 | 서독 함부르크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1980-81 | XXVI | 33 | 유러피언컵 1980-81 | 잉글랜드 리버풀 | 1 - 0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파리, 파르크 데 프랭스 |
1981-82 | XXVII | 33 | 유러피언컵 1981-82 | 잉글랜드 애스턴 빌라 | 1 - 0 | 서독 바이에른 | 로테르담, 스타디온 페예노르트 |
1982-83 | XXVIII | 33 | 유러피언컵 1982-83 | 서독 함부르크 | 1 - 0 | 이탈리아 유벤투스 | 아테네,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
1983-84 | XXIX | 32 | 유러피언컵 1983-84 | 잉글랜드 리버풀 | 1 - 1 (a.e.t.) (PSO 4 - 2) | 이탈리아 로마 | 로마, 스타디오 올림피코 |
1984-85 | XXX | 32 | 유러피언컵 1984-85 | 이탈리아 유벤투스 | 1 - 0 (헤이젤 참사) | 잉글랜드 리버풀 | 브뤼셀, 헤이젤 경기장 |
1985-86 | XXXI | 31 | 유러피언컵 1985-86 | 루마니아 스테아우아 | 0 - 0 (a.e.t.) (PSO 2 - 0) | 스페인 바르셀로나 | 세비야, 라몬 산체스 피스후안 |
1986-87 | XXXII | 31 | 유러피언컵 1986-87 | 포르투갈 포르투 | 2 - 1 | 서독 바이에른 | 빈, 프라터슈타디온 |
1987-88 | XXXIII | 32 | 유러피언컵 1987-88 | 네덜란드 PSV | 0 - 0 (a.e.t.) (PSO 6 - 5) | 포르투갈 벤피카 | 슈투트가르트, 네카어슈타디온 |
1988-89 | XXXIV | 31 | 유러피언컵 1988-89 | 이탈리아 밀란 | 4 - 0 | 루마니아 스테아우아 | 바르셀로나, 캄 노우 |
1989-90 | XXXV | 32 | 유러피언컵 1989-90 | 이탈리아 밀란 | 1 - 0 | 포르투갈 벤피카 | 빈, 프라터슈타디온 |
1990-91 | XXXVI | 31 | 유러피언컵 1990-91 | 유고슬라비아 츠르베나 즈베즈다 | 0 - 0 (a.e.t.) (PSO 5 - 3) | 프랑스 마르세유 | 바리, 스타디오 산 니콜라 |
1991-92 | XXXVII | 32 | 유러피언컵 1991-92 | 스페인 바르셀로나 | 1 - 0 (a.e.t.) | 이탈리아 삼프도리아 |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
1992 ~ 현재 |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Champions League) | ||||||
1992-93 | XXXVIII | 36 | UEFA 챔피언스리그 1992-93 | 스페인 마르세유 | 1 - 0 | 이탈리아 밀란 | 뮌헨, 뮌헨 올림픽 슈타디온 |
1993-94 | XXXIX | 42 | UEFA 챔피언스리그 1993-94 | 이탈리아 밀란 | 4 - 0 | 스페인 바르셀로나 | 아테네,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
1994-95 | XL | 24 | UEFA 챔피언스리그 1994-95 | 네덜란드 아약스 | 1 - 0 | 이탈리아 밀란 | 빈, 에른스트 하펠 슈타디온 |
1995-96 | XLI | 24 | UEFA 챔피언스리그 1995-96 | 이탈리아 유벤투스 | 1 - 1 (a.e.t.) (PSO 4 - 2) | 네덜란드 아약스 | 로마, 스타디오 올림피코 |
1996-97 | XLII | 24 |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 | 독일 도르트문트 | 3 - 1 | 이탈리아 유벤투스 | 뮌헨, 뮌헨 올림픽 슈타디온 |
1997-98 | XLIII | 55 | UEFA 챔피언스리그 1997-98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1 - 0 | 이탈리아 유벤투스 |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아레나 |
1998-99 | XLIV | 56 |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 |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2 - 1 | 독일 바이에른 | 바르셀로나, 캄 노우 |
1999-2000 | XLV | 71 | UEFA 챔피언스리그 1999-2000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3 - 0 | 스페인 발렌시아 | 생드니, 스타드 드 프랑스 |
2000-01 | XLVI | 72 | UEFA 챔피언스리그 2000-01 | 독일 바이에른 | 1 - 1 (a.e.t.) (PSO 5 - 4) | 스페인 발렌시아 | 밀라노, 주세페 메아차 |
2001-02 | XLVII | 72 | UEFA 챔피언스리그 2001-02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2 - 1 | 독일 레버쿠젠 | 글래스고, 햄던 파크 |
2002-03 | XLVIII | 72 | UEFA 챔피언스리그 2002-03 | 이탈리아 밀란 | 0 - 0 (a.e.t.) (PSO 3 - 2) | 이탈리아 유벤투스 | 맨체스터, 올드 트래포드 |
2003-04 | XLIX | 72 | UEFA 챔피언스리그 2003-04 | 포르투갈 포르투 | 3 - 0 | 모나코모나코 | 겔젠키르헨, 아우프 샬케 아레나 |
2004-05 | L | 72 | UEFA 챔피언스리그 2004-05 | 잉글랜드 리버풀 | 3 - 3 (a.e.t.) (PSO 3 - 2) | 이탈리아 밀란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2005-06 | LI | 74 | UEFA 챔피언스리그 2005-06 | 스페인 바르셀로나 | 2 - 1 | 잉글랜드 아스널 | 생드니, 스타드 드 프랑스 |
2006-07 | LII | 73 | UEFA 챔피언스리그 2006-07 | 이탈리아 밀란 | 2 - 1 | 잉글랜드 리버풀 | 아테네,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 |
2007-08 | LIII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07-08 |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1 - 1 (a.e.t.) (PSO 6 - 5) | 잉글랜드 첼시 | 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 |
2008-09 | LIV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08-09 | 스페인 바르셀로나 | 2 - 0 |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로마, 스타디오 올림피코 |
2009-10 | LV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09-10 | 이탈리아 인테르나치오날레 | 2 - 0 | 독일 바이에른 | 마드리드,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2010-11 | LVI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10-11 | 스페인 바르셀로나 | 3 - 1 | 잉글랜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
2011-12 | LVII | 75 | UEFA 챔피언스리그 2011-12 | 잉글랜드 첼시 | 1 - 1 (a.e.t.) (PSO 4 - 3) | 독일 바이에른 | 뮌헨, 푸스발 아레나 뮌헨 |
2012-13 | LVIII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12-13 | 독일 바이에른 | 2 - 1 | 독일 도르트문트 |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
2013-14 | LIX | 76 | UEFA 챔피언스리그 2013-14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4 - 1 (a.e.t.) | 스페인 아틀레티코 | 리스본, 이스타디우 다 루스 |
2014-15 | LX | 77 | UEFA 챔피언스리그 2014-15 | 스페인 바르셀로나 | 3 - 1 | 이탈리아 유벤투스 | 베를린, 올림피아 슈타디온 |
2015-16 | LXI | 78 | UEFA 챔피언스리그 2015-16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1 - 1 (a.e.t.) (PSO 5 - 3) | 스페인 아틀레티코 | 밀라노,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
2016-17 | LXII | 78 | UEFA 챔피언스리그 2016-17 |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
4 - 1 | 이탈리아 유벤투스 |
카디프, 밀레니엄 경기장 |
2017-18 | LXIII | UEFA 챔피언스리그 2017-18 | 키예프, 올림피스키 경기장 |
※ UEFA 챔피언스리그를 통산 5회 이상 우승한 경우 또는 연이어 3회 이상 우승한 경우, 해당 업적을 달성한 구단에게는 UEFA 챔피언스리그의 우승 트로피인 빅이어 (Big Ear)를 영구소장할 자격이 주어진다. 빅이어를 영구소장하고 있는 구단들에는 트로피를 표시한다.
국가 | 1 우승 | 2 준우승 |
---|---|---|
스페인 | 17회 (2구단) | 11회 (4구단) |
이탈리아 | 12회 (3구단) | 16회 (6구단) |
잉글랜드 | 12회 (5구단) | 7회 (5구단) |
독일 | 7회 (3구단) | 10회 (6구단) |
네덜란드 | 6회 (3구단) | 2회 (1구단) |
포르투갈 | 4회 (2구단) | 5회 (1구단) |
프랑스 | 1회 (1구단) | 4회 (3구단) |
루마니아 | 1회 (1구단) | 1회 (1구단) |
세르비아 | 1회 (1구단) | 1회 (1구단) |
스코틀랜드 | 1회 (1구단) | 1회 (1구단) |
그리스 | 1회 (1구단) | |
모나코 | 1회 (1구단) | |
벨기에 | 1회 (1구단) | |
스웨덴 | 1회 (1구단) |
예선전을 제외한 기록
순위 | 선수 | 국적 | 득점 | 경기수 | 경기당 득점율 | 연도 | 소속 클럽 |
---|---|---|---|---|---|---|---|
1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105 | 140 | 0.75 | '02- | 스포르팅 리스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CF | |
2 | 리오넬 메시 | 94 | 113 | 0.83 | '04- | FC 바르셀로나 | |
3 | 라울 곤살레스 | 71 | 142 | 0.5 | '95–'11 | 레알 마드리드 CF, 샬케 04 | |
4 | 뤼트 판 니스텔로이 | 56 | 73 | 0.77 | '98–'09 | PSV 아인트호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CF | |
5 | 티에리 앙리 | 50 | 112 | 0.45 | '97–'10 | AS 모나코, 아스날, FC 바르셀로나 | |
5 | 카림 벤제마 | 50 | 80 | 0.63 | '06– | 레알 마드리드 CF | |
6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49 | 58 | 0.84 | '55–'64 | 레알 마드리드 CF | |
7 | 안드리 셉첸코 | 48 | 100 | 0.48 | '94–'12 | FC 디나모 키예프, AC 밀란, 첼시 FC | |
8 | 에우제비우 | 46 | 65 | 0.71 | '61–'74 | SL 벤피카 | |
10 | 필리포 인자기 | 46 | 81 | 0.57 | '97–'12 | 유벤투스, AC 밀란 | |
11 | 디디에 드로그바 | 44 | 91 | 0.48 | '03– | 올림피크 드 마르세유, 첼시 FC, 갈라타사라이 | |
12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43 | 107 | 0.4 | '01– | AFC 아약스, 유벤투스, 인테르나치오날레, FC 바르셀로나, AC 밀란, 파리 생제르망 | |
13 | 알레산드로 델 피에로 | 41 | 89 | 0.47 | '95–'09 | 유벤투스 | |
14 | 페렌츠 푸스카스 | 36 | 41 | 0.88 | '56–'66 | 부다페스트 혼베드, 레알 마드리드 CF | |
15 | 게르트 뮐러 | 35 | 35 | 1 | '69–'77 | FC 바이에른 뮌헨 | |
16 |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 33 | 93 | 0.35 | '97–'09 | 레알 마드리드 CF, AS 모나코, 리버풀 FC, 발렌시아 CF | |
17 | 사무엘 에투 | 31 | 78 | 0.4 | '99– | 마요르카, FC 바르셀로나, 인테르나치오날레, 첼시 FC | |
18 | 카카 | 30 | 86 | 0.35 | '03–14 | AC 밀란, 레알 마드리드 CF | |
19 | 프란시스코 헨토 | 30 | 89 | 0.34 | '55–'69 | 레알 마드리드 CF | |
20 | 다비드 트레제게 | 29 | 58 | 0.5 | '97–09 | AS 모나코, 유벤투스 |
굵게: | 표시된 선수들은 현재 활동하고있는 선수들이다. |
최다 출전 선수
다음의 선수들이 챔피언스리그 100경기 이상 출전하였다. - 이케르 카시야스, 사비 에르난데스, 라이언 긱스, 라울 곤잘레스, 파올로 말디니,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폴 스콜스, 호베르투 카를루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카를레스 푸욜,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사비 알론소, 안드리 솁첸코, 티에리 앙리, 안드레아 피를로, 게리 네빌, 데이비드 베컴,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존 테리, 페트르 체흐, 빅토르 발데스, 애슐리 콜, 올리버 칸, 루이스 피구, 로아르 스트란드, 프랑크 램파드, 올렉산드르 쇼우코우스키, 하비에르 사네티, 페르난도 모리엔테스, 파트리스 에브라, 지안루이지 부폰, 리오넬 메시, 알레산드로 네스타, 필립 람, 세스크 파브레가스, 에드빈 판 데르 사르
이중 12명은 한 클럽에서만 출장하였다. 사비 에르난데스(바르셀로나) 라이언 긱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파올로 말디니(AC 밀란) 폴 스콜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게리 네빌(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올리버 칸(바이에른 뮌헨) 안드레스 이니에스타(바르셀로나) 리오넬 메시(바르셀로나) 존 테리(첼시) 로아르 스트란드(로젠보리) 올렉산드르 쇼우코우스키(디나모 키예프) 하비에르 사네티(인테르나치오날레)
※참고 : 예선전을 포함한 기록이며, 굵게 처리된 선수들은 현재까지 활동하는 선수들이다.
순위 | 국적 | 선수 | 포지션 | 출전 | 득점 | 경기당 득점 | 유럽 데뷔연도 | 소속 클럽 |
---|---|---|---|---|---|---|---|---|
1 | 스페인 | 이케르 카시야스 | GK | 158 | 0 | 0 | 1999 | 레알 마드리드, 포르투 |
2 | 스페인 | 사비 에르난데스 | MF | 157 | 12 | 0.08 | 1998 | 바르셀로나 |
3 | 웨일스 | 라이언 긱스 | MF | 151 | 30 | 0.2 | 199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4 | 스페인 | 라울 곤살레스 | FW | 144 | 71 | 0.49 | 1995 | 레알 마드리드, 샬케 04 |
5 | 이탈리아 | 파올로 말디니 | DF | 139 | 3 | 0.02 | 1985 | AC 밀란 |
6 | 네덜란드 | 클라렌서 세이도르프 | MF | 131 | 12 | 0.09 | 1992 | 아약스, 레알 마드리드, 인테르나치오날레, AC 밀란 |
7 | 잉글랜드 | 폴 스콜스 | MF | 130 | 25 | 0.19 | 1994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8 | 브라질 | 호베르투 카를루스 | DF | 128 | 17 | 0.13 | 1996 | 레알 마드리드, 인테르나치오날레, 페네르바흐체 |
9 | 포르투갈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FW | 120 | 95 | 0.78 | 2002 | 스포르팅 리스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레알 마드리드 |
10 | 스페인 | 카를레스 푸욜 | DF | 120 | 2 | 0.02 | 1999 | 바르셀로나 |
11 | 스웨덴 |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 | FW | 119 | 46 | 0.39 | 2001 | 아약스, 유벤투스, 인테르나치오날레, 바르셀로나, AC밀란, 파리 생제르맹 |
12 | 스페인 | 사비 알론소 | MF | 116 | 5 | 0.04 | 2004 | 리버풀, 레알 마드리드, 바이에른 뮌헨 |
13 | 우크라이나 | 안드리 솁첸코 | FW | 116 | 59 | 0.51 | 1994 | 디나모 키예프, AC 밀란, 첼시 FC |
14 | 프랑스 | 티에리 앙리 | FW | 115 | 51 | 0.44 | 1997 | 모나코, 아스널, 바르셀로나 |
15 | 이탈리아 | 안드레아 피를로 | MF | 115 | 8 | 0.07 | 1998 | 인테르나치오날레, AC 밀란, 유벤투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UEFA 챔피언스리그",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record,statistics,polls,infographic,survey,analy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