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5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F15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F-15 이글(영어: Mcdonnell Douglas F-15 Eagle)은 맥도널더글러스 / 보잉 이 제작한, 1972년 7월부터 투입된 제공권(Air Supremacy) 확보와 유지에 초점을 둔 미국의 전천후(all-weather) 고기동 전술전투기이다. F-15는 미국 공군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1972년 첫 비행을 하였다. 미 공군은 2025년까지 F-15를 계속 운용할 예정이다. 현재 이 항공기는 2022년까지 생산을 목표로 여러 가지 파생형이 제작되고 있다.
대표적인 파생기종으로는 1989년부터 투입된 F-15E 스트라이크이글이 있으며, 미국 내에서도 성공작이라 평가받는 전천후 전투폭격기이다. 특히, 대한민국 공군의 F-15K는 이 F-15E를 베이스로 하고 있다.
개발 과정
기원
1960년대 중반, 미 공군 정보부는 소련이 미그-25(MiG-25) "폭스벳(Foxbat)"으로 알려진 대형 전투기를 제작하고 있음을 알게 되어 놀라게 되었다. 당시 이 전투기는 제공 전투기가 아닌 고속 요격기로 설계되었다고 알려져 있었다. 전투기의 장점은 속도였고, 조종성이 아니었다. 미그 25의 큰 수평꼬리날개와 수직안정판은 매우 조종성이 좋음을 암시했고, 공군은 그 성능이 미국의 대응기에 비해 우월할까봐 걱정하였다. 실제로, 미그기의 큰 수평꼬리날개와 수직안정판은 비행기가 높은 고도, 높은 속도에서의 관성 커플링(inertia-coupling)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차세대 전투기 프로젝트를 발표하기에 이르고, '100% 공대공 제압을 위한 전투기'라는 조건아래 만들어진 전투기가 바로 F-15이다.
F-X 프로그램
4개의 회사가 F-X(Fighter Experimental; 시험 전투기)를 제안하였고, 맥도넬 더글러스사의 F-15가 미 공군에 의해 선정되었다(1969년 12월).
F-15의 최초 시험기는 단좌형은 F-15A, 복좌형은 F-15B로 명명되었다.
보유국
파생형
기본형(미공군 제식)
- F-15A
- 단좌형 전천후 제공 전투기. 365대 생산
- F-15B
- 복좌형 훈련용. 초기 명칭은 'TF-15A'. 59대 생산
- F-15C
- 개량된 단좌형 전천후 제공 전투기. 408대 생산
- F-15D
- 복좌형 훈련용. 62대 제작
- F-15E 스트라이크 이글
- 복좌형 전천후 장거리 공격, 지상 공격기.
F-15 수출형/사장형(페이퍼 파이터)
- F-15CJ/DJ
- F-15C/D의 일본의 항공자위대용이자 다운그레이드형. 미츠비시에서 면허생산(213대).
- F-15I Ra'am (Thunder)
- F-15E의 이스라엘 공군용으로 미군의 F-15E급을 도입하고 이후 이스라엘에서 직접 개량한 것으로 추정. 총 25대 도입.
- F-15K 슬램 이글(Slam Eagle)
- F-15E의 대한민국 공군용 개량형. 1 ~ 2차 FX 사업으로 총 61대 도입(보잉社의 1기 보상분 포함), 2기 추락으로 59대 운용 중.
- F-15S 스트라이크 이글
- F-15E의 사우디 아라비아 공군용 개량형(다운그레이드형) 72대 도입(24대는 공대공 전용, 48대는 공대지 공격 폭격 임무로 특화됨)
- F-15SG 스트라이크 이글
- F-15E의 싱가폴 공군용 개량형. F-15T로도 알려져있다. 24대 도입
- F-15R
- 루마니아 공군에 제안되었던 중고 A/B형 기체 개량형 모델로 공대공 무장 능력 향상시키고 여타 무장 능력이 제거된 전반적인 다운그레이드형.
- F-15N 시 이글(Sea Eagle)
- 항모 탑재용. 1970년대에 F-14 톰캣의 대안으로 미해군에 제안. 날개 끝을 접을 수 있었고, 적재를 위해 착륙기어와 테일 후크를 강화.
- F-15F 스트라이크 이글
- 단좌형 F-15E
- F-15H 스트라이크 이글
- F-15E의 그리스 공군용 모델 (취소됨)
- F-15SE 사일런트 이글(현재 개발중)
- 기존의 F-15E기체에 스텔스 기능 추가. 수직 꼬리날개를 F-22 형으로 15 도의 각도를 주어 경사지게 변경하고, 모든 외부 돌출 안테나를 내장형으로 변경. 양 측면 컨포멀 탱크 측면과 하부에 암람급 AAM 1 기의 장착이 가능한 내부 무장창 2 개를 설치하여서 모두 4 기의 암람 장착이 가능하고, 또한 SDB 나 500 lbs 급 JDAM 장착이 가능. 2010년 시험비행과 미사일 실사격 후 2012~2013년에 양산예정. 하지만 2018년 현재도 F-15SE에 관한 소식이 없는 것으로 볼때 취소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연구 및 실험기
- F-15 스트리크 이글 (Streak Eagle; '72-0119')
- 부착물이 없고 도색되지 않은 F-15A로, 전투기의 가속을 시범비행하였다. 1975년 1월 ~ 2월에 상승속도 기록을 8회 갱신하였다.
- F-15S/MTD (71-0290)
- TF-15A 중 한 대가 단거리 이착륙, 조종기술 시범비행용으로 개조되었다.
- F-15 ACTIVE (71-0290)
- The F-15S/MTD에서 고급 조종기술의 연구 기체로 개조되었다. TVC노즐과 선미익(先尾翼, canard)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F-15 IFCS (Intelligent Flight Control System) (71-0290)
- The F-15 ACTIVE에서 지능형 비행 제어 시스템 연구 기체로 개조되었다.
- F-15 MANX
- F-15 ACTIVE의 꼬리날개가 없는 형태이며 전체적인 형상은 YF-23과 F-15가 혼합된 형상으로 계획되었으나 비용문제와 성능향상효과에 대한 논란으로 인해 실기체로는 나오지 않았다.
- F-15 비행 연구 시설 (71-0281, 71-0287)
- 두 대의 F-15A 전투기가 1976년에 NASA의 드라이덴 비행 연구 센터에서 요청되어 여러 장비의 시험에 이용되었다.
- F-15B 연구 시험용 (74-0141)
- 1993에 드라이덴 비행 연구센터에서 요청되었다.
제원
일반사항
- 승무원: 1 (A/C), 2 (B/D/E/K)
- 길이: 63.8 ft (19.44 m)
- 날개폭: 42.8 ft (13 m)
- 높이: 18.5 ft (5.6 m)
- 날개 면적: 608 ft² (56.5 m²)
- 자체 공중량: 28,000 lb (12,700 kg)
- 무장시 (C 형): 44,500 lb (20,200 kg)
- 최대 이륙 중량:
- C/D: 68,000 lb (30,844 kg)
- E: 81,000 lb (36,700 kg)
- 동력원: 엔진
- 레이다: 레이시온(Raytheon) AN/APG-63, E형:AN/APG-70
- 레이다 대항책: AN/APX-76 IFF 피아식별장치, AN/ALQ-128 레이다 경고 장비, AN/ALR-56 레이다 경고 수신기, ALQ-135 내장형 재머, AN/ALE-45 채프/플레어 살포기
- 단가(FY$98): 4천 3백만 달러 (F-15C/D), 약 5천 5백만 달러 (F-15E/F)
성능
- 최고속도: 1,875 mph (3,000 km/h) (마하 2.5)
- 항속거리: 3,500 mile (5,632 km)
- 실용상승고도:
- A/B/C/D: 65,000 ft (19,812 m)
- E: 50,000 ft (15,000 m)
- 상승률: 50,000 ft/min (15,240 m/min)
무장
- 날개 6곳, 동체 4곳, 중앙선에 1곳 장착 가능 (The F-15E 스트라이크형은 추가로 동체에 4군데 장착이 가능) 총 중량은 16,000 lb (7,300 kg) 으로, 다음과 같은 무장을 포함한다.
(F-15K의 경우에는 SLAM-ER나 공대지/함 미사일 하푼을 운용할 수있다.)
동급 기종과의 성능
미국 공군협회가 발행하는 `에어포스 메거진' 2001년 10월호는 "F-15C는 수호이 Su-35에 훨씬 뒤진 미그-29 초기형보다 레이다 탐지 거리에서 우수하지만, 개량형 미그-29SMT와 비슷하다"고 평가했다.[1]
관련항목
각주 및 참고 자료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