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censed under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Jpatokal, the maintainer of OpenFlights and author of this image).
현재 이 문서는 주로 유라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한 의견이 있으시면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1년 5월) |
공항(空港, 영어: airport)은 상업용 제반 항공기의 발착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 공개비행장을 말한다. 주로 여객기·화물기 등의 항공기 이착륙에 이용한다. 항공기의 대형화와 항공기 대(臺)수의 증가로 공항시설의 확장이 대부분의 도시에서 요청된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공항"의 타이틀에는 분쟁의 여지가 있지만, 1909년 라이트 형제가 설립한 미국 메릴랜드주의 칼리지 파크 공항이 현재 운영 중인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이착륙장으로 간주되는 것이 보통이다.[1] (범용 항공만 취급) 미국 애리조나주의 비스비 더글러스 국제공항은 1943년 프랭클린 D. 루스벨트에 의해 미국 최초의 국제 공항으로 선언되었다. 제트기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공항 건설은 1960년대 붐이 일었다.
대한민국에는 서울의 김포국제공항, 부산의 김해국제공항, 제주도의 제주국제공항 등이 국제공항으로의 현대화 계획에 의하여 확장·개발되었으며, 인천의 영종도와 용유도 사이의 간척지에 인천국제공항이 1996년 착공되어 2001년 3월 29일 개항하였다. 한편, 대한민국의 민간항공이 취항할 수 있는 곳은 김포·김해·진주·제주·속초·울산·강릉·대구·포항·광주·목포 등으로서 국제선의 발전과 함께 국내선의 발전을 더해 주고 있다. 현재 운영중인 국내공항으로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운영하는 인천국제공항이 있으며 한국공항공사에서 운영하는 김포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대구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 무안국제공항, 양양국제공항, 울산공항, 포항공항, 사천공항, 여수공항, 광주공항, 군산공항, 원주공항에서 운영하는 14개의 공항을 포함해서 총 15개의 운영중인 공항이 있다.그리고 군산공항은 미군이 운영한다 또한 현재 울릉도의 울릉공항과 흑산도의 흑산도공항이 공사 중이며 인천국제공항은 현재 2단계 계획을 세우고 있다.
북한에는 평양의 순안공항이 대표적으로 유명하며 일본에는 도쿄의 나리타 국제공항과 하네다 국제공항을 비롯, 오사카의 간사이 국제공항, 나고야의 주부 국제공항 등 103개의 공항을 보유하고 있고, 고쿠라 공항만 유일하게도 폐쇄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는 베이징 서우두 국제공항이, 중화민국에는 타이베이 중정기장과 가오슝 국제공항이, 홍콩에는 홍콩 국제공항과 1998년 폐쇄되었던 카이탁 공항이, 마카오에는 마카오 국제공항이 대표적인 공항으로 자리잡고 있다.
타이에는 방콕에 위치한 수완나품 공항과 돈므앙 국제공항이, 말레이시아에는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이, 싱가포르에는 싱가포르 창이 국제공항이 대표적인 공항으로 자리잡고 있다.
서남아시아의 경우 인도의 델리 국제공항, 뭄바이 국제공항 등이 존재하며, 중동의 경우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국제공항과 아부다비 국제공항이 있다.
( 칠레)에두아르도 프레이 몬탈바 기지 (푼타아레나스ㅡ킹조지)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This article uses material from the Wikipedia article "공항", which is relea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3.0. There is a list of all authors in Wikipedia
3D,CAD,Model,Libary,Railway, Train, Ship, Marine, Submarine, Automotive, Locomotive, Bike, Car, Formula 1, Space, Aircraft, Aerospace, Satelite, Automobile, Yacht